짜장면의 어원.
여러 가지 다진 야채와 고기를 넣고 식용유, 중국 된장으로 볶은 양념에 국수를 비벼 먹는 한국식 중화요리 짜장면은 본래 중국어로 자지앙미엔이라고 표기하며, 장을 볶아 면과 함께 먹는다는 뜻이다. 본 내 자장면을 표준어로 인정하였으나 규범과 실제 사용 간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에서는 2011년부터 자장면과 짜장면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했다.
짜장면의 기원과 역사.
중국의 짜장면이 한국에 1883년 이래로 들어왔다. 인천항을 통해 유입된 산둥반도의 노동자들이 고국의 음식을 재현해서 먹던 것에서 출발되었다고 한다. 이후 1905년에 인천 차이나타운의 공화춘이라는 식당 메뉴로 처음 선보였으며 , 이 때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춰 캐러멜이 함유된 춘장이 개발되었다. 실제 중국의 짜장은 단맛보다 짠맛이 강한 데, 한국식 짜장면은 단맛이 더 많이 나며 전분 물과 다진 야채 등의 소스를 많이 넣어 식감이 부드럽고 기름지다.
짜장면이 배달음식으로 야외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1930년대로 추정한다. 한식과 달리 국물 없는 요리가 대부분인 중국요리는 배달이 가능했고, 당시에는 사람들이 직접 목재가방에 짜장면을 넣고 배달을 했다. 1960년대 이후 전화기가 가정에 보급됐고, 짜장면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무거웠던 목재 가방이 1970년대 ㅣ후 알루미늄이나 함석으로 만든 철가방으로 바뀌었다. 1980년대에서부터는 오토바이를 활용해 배달을 하기 시작했으며, 이때부터 배달음식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또한 이 시점부터 인스턴트 짜장면도 생산 및 판매되기 시작했다.
짜장면의 종류
짜장면은 원래 한 종류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간짜장, 쟁반, 해물, 유니 짜장등과 같은 종류로 탄생하게 되었다. 국수가 아닌 밥과 함께 먹는 짜장도 발전하였으며 간짜장은 일반 짜장과는 다르게 춘장을 물과 전분 없이 볶아내는 것이 특징으로 더욱 기름지고 고소하다. 유지 짜장은 모든 재료를 갈아 넣어 좀 더 부드러운 편이다.
'음식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까스의 어원. 돈까스의 기원과 역사. 돈까스의 종류 (0) | 2021.05.19 |
---|---|
우동의 어원. 우동의 기원과 역사. 우동의 종류 (0) | 2021.05.19 |
초밥의 어원과 역사. (0) | 2021.05.18 |
쌀국수의 기원과 역사. 쌀국수의 종류. (0) | 2021.05.18 |
라멘의 어원. 라멘의 기원과 역사. 라멘의 종류 (0) | 2021.05.17 |